사회복지학/81-행정론

08-04-25(금) 강의 - 휴먼서비스 관료제의 혁신

영등포로터리 2008. 4. 26. 17:48

# 발표 : 거대한 휴먼 서비스 관료제 내에서 혁신을 촉진하기[Fistering Innovation in a Large Human

            Services Bureaucracy] - LJw 자료 참조

 

# 강의 [주제발표용 요약문 - 2쪽을 넘기지 말 것 -> 참 어려운 이야기임]

   1. 관료제와 혁신의 관계 및 혁신의 시도

      1) 관료제 [위계적 질서]<--------------------> 혁신[from within]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↑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‡ 시범사업으로 관료제의 혁신을 꾀함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시범사업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> 시범사업이 성공도 하고 실패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. mini-grant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하는데 성공을 했다고 해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. new idea fund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지속성에 대한 의구심이 있음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[재량권을 허용]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=>시간이 걸리고 관료적 절차를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요함

          (1) 혁신을 어떻게 할 것인가?

          (2) 혁신은 지속 가능한가?

      2) 시범사업

          * Steering committee[운영위원회] : 관료체계가 아닌 동등한 협력관계 -> Network

             - Line worker들이 new idea를 Steering committee에 제안[관료제의 위계적 질서에 제안을

               해봐야 안되므로] -> 그로부터 mini-grant를 받음

             - fund는 (DHS가 아닌) Philadelphia Foundation으로 부터 옴

             - line worker와 steering committee와의 상호작용이 바로 혁신임

         ** [이렇게 혁신은 되었지만], 지속성의 문제는 남음

             - 48쪽의 while 이하의 내용을 참고

             - 내부로부터의 혁신에도 어려움이 있는대 그 이유는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. top-down의 경향이 있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. 변화를 두려워함[status quo : 있는 그대로]

   2. M. Weber의 고민

      1) 권위(Authority)와 권력(Power)

          - 공통점 : 영향(influence)을 미친다는 점은 공통

          - 차이점 : 권위는 능동적이고 권력은 수동적임

      2) 동기부여를 자발적으로 할 것이냐 아니면 강제적으로 할 것이냐 문제

          - 전통적 권위 : 神적, 가부장적

          - 카리스마 적 권위 : 영웅적

          - 합리적 권위 : 합리적, 효율적 규칙(관료제가 대표적임)

      3) 관료제의 특징

          - 고도의 분업화 : 표준화(획일화)

          - 의사결정의 위계질서

          - 기술과 실적에 따른 관리 임명

          - 문서에 의한 업무처리

          - 사전에 명시된 규칙(가장 효율적으로 예상되는)

   3. 여러가지

       1) QWL (Quality of Work Life) : 49쪽의 아랫줄[Programmatic~~~ made], 권익옹호, 결정방법

           재정의

       2) New Idea Fund의 특징 : 발표문 3쪽

       3) project Activities : 발표문 3p

       4) 배울점 : 발표문 3~4p [What has been ~~~~]

       5) Transforming human services bureaucracies

           => 혁신조직과 관료조직이 개별적 목표를 갖고 가야 공존이 가능하며 관료조직을 완전히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무시하면 안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