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회복지학/81-정책론

08-03-13(목) 강의 : 사회복지 정책의 개념과 범주

영등포로터리 2008. 3. 16. 10:05

= 사회복지 정책의 개념과 범주 / 한형수 교수

 

- 미국은 사회적 약자에 관한 관점을 personality의 문제로 원인을 돌림

   . 이의 치유로 social work를 해석

- 우리는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음 - 해방 이후에 미국의 원조로 사회복지를 실현

- 60년대 압축적 산업화로 자본주의 경제체제하의 구조화 및 고착화

  . 경제성장에 따른 물질적 풍요

  . 자본주의 사회의 역동성 - 경제 12위국

  . 신분상승의 열망 - 한국인의 출세열망이 cultural goal

- 자본주의 체제의 역기능(불평등, 양극화 등)이 구조화됨

  . 욕구결핍을 넘어 사회문제화됨 : 사회구조 및 제도의 문제

  . 개인의 치유를 넘어 국가의 정책으로 해결 => 종래의 패러다임으로는 해결이 안됨

    -> 사회사업(미시적 관점)/사회정책(거시적 관점)

 

- 영국(구빈정책), 독일(사회보험) => 사회복지학 탄생

  * 한동안 사회사업과 사회복지가 양립되었으며 근래는 사회복지학으로 통합되는 추세

  . 구빈법(Poor Law) : 부국강병책으로 양모산업이 융성하여 농민이 노동자로 전환되므로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노동자를 위한 구빈법이 제정됨

  . 영국은 구빈법, 독일은 노동관계 중심의 사회정책이 주류로 형성됨

 

- 막스베버 : 1. 경제적 부(Wealth), 2. 사회적 명예(prestige), 3. 정치적 권력(Power)

   => 뭔 얘기였는지 좀 더 공부가 필요

 

- 세계화는 복지국가의 개념에 큰 도전임

  . 영국은 아직도 제3의 길을 시험중에 있음

 

+