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회복지학/81-여성복지

08-03-14(금) 강의, 1. Women's place in Man's life cycle

영등포로터리 2008. 3. 16. 09:21

= 여성복지학 : 여성을 인간으로 보아야 한다는 관점이 필요함

   - 서울시의 여행프로젝트[여성이 행복한 도시]에 대한 언급 - 조규영 의원

   - 하드웨어적인 면은 준비가 많이 되어 있는데 소프트웨어적인 면이 미흡

 

= Self in Relationship [배포해준 그림 한장을 중심으로 설명]

  - 책임(Responsibility) : Relation, 즉 관계를 전제한 것임

    . 프로이드 등 남성 심리학자들의 사상이 남성 위주 시대의 시대상을 반영한 것

    . 심리학 이론이 남자에 의해서 집대성된 것

    . 자본주의(?)

    . 책임이라는 개념을 떠올릴 때 떠오르는 것 : 의무를 다한 후의 권리 주장

      => 혼자 살 때는 책임이 적음

  - 차도르(Chodorow)의 정신분석이론

     [늦게 강의를 들어 가서 아래 기술이 차도르 것인지 확인이 필요함]

    . 3세 이전이 매우 중요 : 세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?

    . 인간이 어머니의 胎안에서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은 의존[dependence, 미성숙]이다.

    . 탯줄을 끊고 세상으로 나오면서 과연 인간이 독립이 될까?

  - 두사람의 만남에서  intimacy와 dependance를 빼면 책임감이 없어진다.

    . 남녀가 놀이공원을 가기로 했는데 여자는 일주일을 기다렸고 남자는 몸살로

      꼼짝을 못하는 상황이 설정됨

    . 과연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책임감 있는 상황해법인가?

  - 남아[男兒]는 태에서 분리되며 여아보다 훨씬 독립이 될 것을 요구받음

     => 배부된 그림에서 Resposibility에서 Obligation과 Responsiveness로 갈라지는 것이 설명됨

    . 인간의 첫사랑은 아기와 엄마와의 관계임

    . 남자 아이가 소꿉장난을 하고 화장을 하고 하면 오히려 엄마나 아빠가 걱정을 함 

  - 여아는 엄마와 같이 행동하면서 connected됨

    . Comittment : Relationship에서는 욕구에 반응을 해야 되는데 Response해야 됨

      => 놀이공원과 몸살의 해법 : 서로 수용하면서 접근

    . 엄마는 아무리 배가 고파도 애가울면 젖을 줘야 하고 또 준다.

  - 여성의 일상은 수많은 도전의 연속으로 자연스럽게 삶의 일부로 받아들임

     => 여성주의 심리학자의 관점(?)

  - 여성은 마이크를 쥐면 약해도 수다를 떨면 엄청 강함

  - 두더지와 고슴도치 이야기[고슴도치가 춥다는 이유로 두더지굴에 들어와 오히려 점령

     . 이때 어떻게 할 것인가를 질문 받음

     . 두가지의 가치(축)를 조화롭게 교육시키고 발전시키는 것

 

1. Women's place in Man's life cycle [In a different voice]

   = 프로이드 : 여성은 남성보다 정의감이 약하고 중대하고 우선적인일에 자신을 내던지는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의지가 약하며 판단을 내릴 때도 감정에 치우친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=> 조만식 선생 : 며느리가 재봉틀을 잃고 우는 것을 보고 나라를 잃고 울지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않더니 그리도 재봉틀이 대단한 것이냐는 얘기

   = 차도르 : 보편적으로 여성이 아동의 초기에 보육을 책임지며 초기의 사회적 환경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남아와 여강가 다르게 경험하기 때문에 성격이 달리 발달한다.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* 아동초기에 남아와 여아의 인간관계의 문제

  - 여성다움[womanhood] vs 어른다움[adulthood]

     . Woolf : 남여가 서로 추구하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

  - Self-denial : identity crisis

  - Kohlberg(1958, 1981) : 도덕관에 있어서의 남녀의 차이 

     . 도덕발달이 미약한 것이 여성이라는 뜻

  - Horner(1972) : 여성은 경쟁적인 성취에 대해 느끼는 불안감에 문제가 있다.

     . 경쟁적인 성취에 대한 남녀의 차이

     . hope success / fear failure 구분 : 자료를 한번 봤으면 좋겠네요???

     . 여성은 fear hope임 : 성공을 기피한다는 의미인데 fear success가 맞는 것 같음

     => 배포해준 자료를 보면 남자는 게임(내기)을 즐기고 여자는 플레이(즐기기)를 즐김

          Justice와 Care의 속성을 띰

     * 나의 이야기 : relation이 두렵다. 탯줄이 끊어질 때 무슨 문제가 있었을까?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살아오면서 내 자신을 보면서 이것이 무엇인가 또 내가 누구인가하고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느꼈던 것이 이론적으로 해석되는 것을 봄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그런데 과연 1955년에 어머니에게 무슨 일이 있었을까?

     * 안타깝게도 교육심리학에 이런 컬리큘럼이 없음

    

08년 3월 21일(금) 제출할 과제

1. 주제발표 ?

2. 미니프로젝트를 어떠한 것을 할 것인지 간략히 보고서 제출 => 관련된 CD나 책을 구매

3. KBS special "미래의 코드, 여성" 1편 - "여성지수를 높여라" => 조규영 의원에게 문의

4. 참여자 일지

 =