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시, 한강다리에 투신 예방용 CCTV 설치 - 서울시, ‘투신사고 제로화’ 위해 2010년까지「한강 교량 안전시스템」구축 - 국내 최초로 교량 투신 예방→ 방지→ 대응→ 사후관리 시스템 갖춰 - 한강대교 등 8개 교량에 96대 CCTV, 16대 ‘SOS 긴급전화’ 설치 - 소방관서, 경찰, 자살예방센터 등 4개 유관기관과 동시 출동태세 갖춰 |
□ 서울시가 한강다리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‘투신사고를 제로화’하기 위한 안전시스템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선다.
□ 서울특별시소방재난본부는 자살율 OECD 1위 국가의 오명을 씻고, 특히 점차 증가 추세(연평균 4.4%증가)를 보이고 있는 한강에서의 투신 사고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130억을 투입,「한강 교량 안전시스템」을 2010년 말까지 구축하겠다고 28일(월) 밝혔다.
<하루 평균 1회 한강 투신사고 발생하지만 보호시스템은 전무한 실정>
□ 서울시에 따르면 한강 교량에서의 투신사고 구조건수는 ‘07.1.1 부터 ’09.7.30까지 총1,033건으로서, 수난구조 3,152건 중 32.7%를 차지하고 있다. 즉 하루에 평균 1번은 투신사고가 발생하는 셈.
○ 특히 투신했다 구조된 1,033건 중 실제 인명구조는 618건(안전구조 467명, 경상 55명, 중상 74명, 사망 22명)으로 사망이나 중상으로 이어지기 직전 안전구조 활동이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고 있다.
□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강 투신 사고는 CCTV, 적외선 감지기 등 실시간 감시․관제체제가 없어 목격자의 신고에 의존하는 등 현재 한강 교량엔 투신 시도자를 보호하기 위한 시스템은 전무한 실정이다.
<서울시, 국내 최초로 교량 투신 예방→방지→대응→사후관리 시스템 갖춰>
□ 총 13개 사업으로 구성된 서울시「한강 교량 안전시스템」은 국내 최초로 교량에 자살 및 투신 방지를 시스템화한 것으로서 투신 사고의 예방→방지→→대응→ 사후관리까지 책임지는 입체적 체계를 갖추고 있다.
<한강대교 등 8개 교량에 96대 CCTV, 16대‘SOS 긴급전화’설치>
□ 우선 가장 중요한 예방시스템은 ▴한강대교 등 8개 교량에 CCTV 96대, ▴감시․관제 비상방송 시설, 그리고 ▴가칭 ‘SOS 긴급전화’ 16대를 각각 설치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다.
□ 아울러 한강대교와 양화대교 2개 교량엔 음악, 주변 환경 조성 등으로 자살 시도 포기를 유도,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가칭 ‘테마교량’이 조성된다.
<한강․마포대교, 광진교엔 높이 2m 투신방지벽 시범설치>
□ 방지 시스템으로는 한강 및 마포대교, 광진교 3개 교량엔 낮은 난간의 높이를 약 2m까지 높여 투신이 어렵도록 하는 투신방지벽도 시범적으로 설치 운영한다.
<소방관서, 경찰, 자살예방센터 등 4개 유관기관과 동시 출동태세 갖춰>
□ 또 투신 사고에 신속히 대응,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▴소방관서, 경찰, 자살예방센터, 한강교량초소 4개 유관기관과 동시 출동태세를 구축하고 ▴한강교량초소(영동, 마포, 행주대교)와 서울종합방재센터 간 Hot-Line을 연결한다.
○ 또 반포대교 인근에 새롭게 조성될 플로팅 아일랜드 등 수난사고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난구조대 1개 대를 신설한다.
○ 영동, 마포, 행주대교엔 응급 구조함을 설치하고, 시민들을 대상으로 현장사고 대응 매뉴얼도 제작․보급한다.
<자살시도 재발방지 위해 서울시 전역의 상담프로그램도 구축>
□ 자살시도 재발방지를 위한 사후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서울시 및 자치구 정신보건센터, 사단법인 ‘사랑의 전화’와 연계, 자살시도자 및 유가족 대상 재활 및 상담프로그램을 서울 전역 관리체제로 확대할 계획이다.
<‘시민생명보호’라는 소프트웨어 기능 입혀 한강르네상스 완성>
□ 이기환 서울시소방재난본부장은 “획기적 변화의 시대를 맞고 있는 한강에 걸 맞는 안전대책의 필요성이 절실한 상황”이라며 “한강 다리에 ‘시민생명보호’ 라는 소프트웨어 기능을 입히는 한강교량 안전시스템은 한강르네상스의 완성”이라고 말했다.
[보조자료]
|
|
사고 및 대응체계 현황 |
한강교량 투신사고 현황 (2007.1.1 ~ 2009. 7.31)
출동건수 : 수난사고 3,152 / 투신사고 1,033 - 연평균 증가율 ▲ 4.4%
투신사고1,033 (구조618, 오인66, 자체처리134, 사망22, 타기관 등 193)
한강교량별 투신사고 발생 현황 : 1,033건 (1.05건/일)
구분 |
마포 대교 |
한강 대교 |
원효 대교 |
성산 대교 |
양화 대교 |
영동 대교 |
동작 대교 |
한남 대교 |
서강 대교 |
기타 교량 |
발생 건수 |
127 |
108 |
67 |
65 |
62 |
45 |
45 |
39 |
37 |
438 |
한강교량 투신사고 인명구조 현황
- 인명구조 : 618명 (안전구조 467, 경상 55, 중상 74, 사망22)
|
|
한강(내수면) 수난구호체계
구호기관(부서) : 서울소방재난본부
상설운영 조직 : 2개대 (광진, 영등포 119수난구조대)
비 상 설 조직 : 2개 조직
① 목 적 : 상설운영 조직인 한강 수난구조대 업무보조
② 운 영 : 한강 수난, 수상사고 급증기간 (매년 여름철 7월 ~ 8월) 임시운영
③ 조 직
- 119한강수난구조대 : 사고예방 및 신속한 사고대비 한강 현지 전진배치
- 119시민수상구조대 : 사고예방을 위한 시민 자원봉사자 모집운영
|
|
외국사례검토 |
미 국
자살방지를 위한 연구센터(NIMH) 및 예방을 국가적 전략(NSSP)수립 추진
금문교 투신방지 및 대응시스템 - 투신 방지벽, 상담전화 (Crisis Counseling)
교량관리소 구호대원 배치, 운영
영 국
자살예방을 국가적 전략(NSPSE)으로 자살예방 감시기구(NIMHE) 설립 통합체계 구축
클리프톤 서스펜션 다리(Clifton Suspension Bridge) - 투신 방지벽
호주 및 캐나다
자살 과 자해행위를 예방하기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전력적 LIFE 행동강령체계로 사고
예방ㆍ방지, 대응ㆍ사후관리 공공기관 통합운영체계 구축 추진
트로노토 트러스교, 항만교 - CCTV 등 감시시스템 구축, 방지벽 등 방지시스템
사고대응 소방분대설치 및 수난구조대 연계 활동
|
|
기본계획 |
기 간 : 2009. 10. 01 ~ 2010. 12. 31
안전시스템 구축 방안
통합 안전시스템 구성도
|
|
세부추진계획 |
CCTV 등 감시ㆍ관제 - 8개 교량(96대) 우선 시범 설치ㆍ운영
(마포대교, 한강대교, 성산대교, 양화대교, 원효대교, 동작대교, 한남대교, 영동대교)
사 업 명 |
주 요 내 용 |
실시간 감시, 관제, 비상방송시설 설치 |
◦ 한강교량 투신 자살의도자 실시간 감시 전용 통합 시스템으로 운영 ◦ 감시카메라, 적외선 감지센서, 비상방송, 관제 원격조정 기능 ◦ 기타 교량 안전사고 등 재난 감시시스템 연계 관제용으로 활용 ✔ 소방재난본부 기 운영 중인 이동통신 발신자 위치추적 시스템 연계 구축 ✔ 소방재난본부 (서울종합방재센터) 인적자원을 활용한 관제체계 구축 ✔ 도시기반시설본부 한강교량에 기 설치된 감시용 CCTV 등 시설1) 연계 관제체계 구축 |
가칭 "SOS 긴급전화" : 16대 (8개 교량 × 2)
사 업 명 |
주 요 내 용 |
자살 의도자 상담용 긴급전화 (Crisis Counseling) |
◦ CCTV 등 감시, 관제시스템 활용 위치파악 및 교량 방호초소 초기대응 구축 ◦ 기타 교량 주변 교통, 범죄사고 등 119, 112 긴급 신고 겸용 ✔ 기존 소방재난본부 자살예방 "제3자 동시통화 시스템" 연계 구축 ✔ 기존 소방재난본부 운영요원 등 기존 인적자원을 활용한 상황체계 구축 |
사고예방을 위한 가칭 "테마교량" 조성 - 2개 교량 (한강, 양화대교)
사 업 명 |
주 요 내 용 |
사 고 예 방 테마교량 조성 |
◦ 한강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, 이용시민에게 문화적 정서함양과 투신사고 예방을 위한 공간 확보된 한강교량에 음악, 時, 창작미술 전시 등 시민참여 테마교량 조성 ✔ 한강교량 보행환경 개선 "전망카페" 사업과 연계 투신사고 발생률 경감 효과기대 |
투신 방지벽 (F.S : fail safe) - 3개 교량 (한강, 마포대교, 광진교 시범설치)
사 업 명 |
주 요 내 용 |
투신 방지벽 |
◦ 기존 마포대교 교량을 활용한 투신 방지벽 설치 ◦ 교량 미관과 경관을 고려, 검토 후 추진 ✔ 투신방지벽 설치되는 교량에는 사고예방 감시용 CCTV 등 감시시설 조정설치 |
유관기관 동시 출동태세 구축 - 투신 의도자 발견 시
사 업 명 |
주 요 내 용 |
긴급인명 구조체계 구축을 위한 합동 출동태세 구축 |
◦ 긴급출동기관 : 4개 (소방관서, 경찰순찰차, 자살예방센터, 한강교량초소) ◦ 한강교량 투신 자살의도자 감시, 관제시 합동 출동태세 구축 ✔ 서울 자살예방센터 정신과 전문인력 활용 사고현장에서부터 사후관리까지 전담 ✔ 한강교량 투신사고를 포함한 서울시 전역 동시출동태세 구축 |
한강교량초소 비상전화 (hot-line) 설치 운영 - 3개 교량 (영동, 마포, 행주대교)
사 업 명 |
주 요 내 용 |
긴급인명 구조체계 구축을 위한 비상전화 (hot-line) 설치 |
◦ 방호초소 설치된 한강교량 초소 3개소에 비상전화(hot-line) 설치 ◦ 관할 수난구조대에 긴급 상황 전파 및 긴급 출동하는 구조정과 통화 가능한 이동통화 시스템 구축 |
수난구조대 신설 - 인적 시스템
사 업 명 |
주 요 내 용 |
긴급인명구조체계 구축을 위한 수난구조대 신설 |
◦ 한강 르네상스 사업 등 시책사업 추진에 따른 한강 수난,수상 취약지점, 안전사각지대 발생에 따른 전담부서 신설필요(2대 → 3개대) ☞ 조 직 규 모 : 인원 17명, 구조보트 등 수난구호체제에 필요한 장비 ☞ 신 설 예정지 : 반포대교 남단 플로팅 아일랜드 부지 인근 수상 |
응급구조함 설치 - 3개 교량 (영동, 마포, 행주대교)
사 업 명 |
주 요 내 용 |
응급구조함 설 치 |
◦ 방호초소 설치된 교량에 이용하는 일반시민 등 긴급ㆍ응급사고 발생시 주변의 일반인 및 교량 관계자가 쉽게 사용 할 수 있는 응급구조함 설치 ☞ 구성품목 : 비상응급처치약품, 소화기, 심실제세동기, 구조로프 등 개인인명구조장비 비치 |
사고대응 매뉴얼 제작, 보급
사 업 명 |
주 요 내 용 |
사고대응 매뉴얼 제작, 보급 |
◦ 한강교량 투신 ․ 의도자 예방 및 현장 대응매뉴얼 |
자살시도자 - 서울시 및 자치구 정신보건센터와 소방관서 사후관리 체제 구축
사 업 명 |
주 요 내 용 |
자 살 시 도 자 사후관리 체제 구축 |
◦ 현재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자살시도자의 재활, 사후관리 프로그램 연계 ◦ 자살시도자의 사고 재발방지를 위함. ✔ 기존 보건정책담당관 (지역정신보건센터) 기존 인적자원을 활용 서울시 전역 관리체제 구축 |
자살자 유가족 - 사단법인“사랑의 전화” 와 재활 및 상담 프로그램 연계
사 업 명 |
주 요 내 용 |
자살자 유가족 사후관리 체제 구축 |
◦ 현재 서울시 자살예방센터 자살자 유가족 재활, 사후관리 프로그램 활용 ◦ 보건복지가족부 후원 사회복지법인과 MOU체결 추진 ✔ 자살자 유가족에 대한 재활, 사후관리를 위한 비영리 복지법인 연계 서울시 전역 관리체제 구축 |
유관기관 동시 출동태세 구축 1)
긴급출동기관 : 4개 (소방관서, 경찰, 자살예방센터, 한강교량 방호초소)
투신자 많이 발견되는 시간대 (21:00 ~ 01:00) 한강교량 투신 예방활동
서울경찰청, 소방재난본부 - 순찰대상 : 20개 교량, 횟수 1회 이상 실시
순찰시간 : 경찰 22:00 ~ 23:00, 소방 23:00 ~ 01:00
도시기반시설본부 : 방호초소직원 예방순찰 (3개 교량 - 영동, 마포, 행주대교)
횟수 1회 이상, 순찰시간 21:00 ~ 22:00
|
|
추진 일정 및 사항 |
추진 일정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|
※ 상기 일정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
1) 유관기관 동시 출동태세 구축 : 한강지역을 포함한 市 전역 자살사고 관련 유관기관 동시 긴급구조 출동태세 구축을 위함.
'22-영등포 소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정의 소중함 (0) | 2009.10.10 |
---|---|
God Bless East Timor 1. (0) | 2009.09.29 |
[스크랩] 코리언의 단점 (0) | 2009.09.19 |
우리 국악기에 중국산 명주실 (0) | 2009.09.18 |
스트레스를 줄이자 (0) | 2009.09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