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 사회복지
. ~에 도달한 상태(수준)
. ~ 하는 것(행위)
. 욕구에 대하여 개입하는 것
- 충족되지 않은, 못한 욕구에 대한 하나의 단위 개입행위 : 서비스
=> 행위의 모임이 프로그램이고 프로그램의 취합이 정책이 됨
- 정책론과 보장론이 분리되어야 하는 이유
. 대상별로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개입방법 : 정책론
. 스스로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해결제도 논의 : 보장론
=> 사회적 위험이라 칭함[예, 번개를 맞는다거나 교통사고를 당하는 위험 등등]
=> 대상을 특정지울 수 없는 위험의 유형화를 통하여 이에 대한 대비방식(사전예방)=제도
- 결국, 보장과 정책은 동일한 것으로 보는 관점의 차이만 있음
* 원리 : 인간의지와 관계없이 이루어지는 것[예: 물이 낮은 곳으로 흐름]
* 원칙 : 인간의 바람[예: 분배, 재분배의 원칙 등]